Honest First

트럼프發 관세전쟁에 게임체인저 된 EU

T.B 2025. 4. 10. 16:02

 

 

 

 

2월 '실업률'이 6.8% 상승하며 경기침체가 '지속' 중인 '브라질'은 3월 인플레이션이 5.3%로 상승한 Stagflation이 나타남에 따라 추가 통화 긴축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트럼프'가 때린 31%의 관세로 감귤류 산업에서 일자리가 감소하고 감귤류 농장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트럼프'의 관세는 감귤류 한 상자당 $4.50의 추가 비용을 발생시킵니다.

 

 

 

 

 

Halifax에 따르면 영국 주택 가격이 두 달 연속 하락했습니다. 향후 잠재적 구매자들은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에는 더 높아진 '차입 비용', 제한적인 매물 공급, 불확실한 경제 전망 등이 포함됩니다. '도이체방크'는 1월 대비 0.1% 감소했던 GDP가 2월에는 소폭 반등할 것으로 전망됐던 '영국'이 부동산 재벌 극우 '트럼프'의 관세 여파에 '직면함'에 따라 일자리 및 기업 지원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독일 산업 생산이 화학, 금속, 기계 및 자동차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을 '트럼프'의 관세 영향으로 2월에 1.3% 감소하며 예상치인 1.0% 감소보다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세로 무역전쟁을 저질러 세계 주가를 '대폭락'시킨 '트럼프'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은 약 6,000기의 핵 강국이자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을 저질러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를 미친듯이 치솟게 만들어 세계 주가를 '대폭락'시킨 '러시아'는 1분기 '재정적자'가 GDP의 1%로 감소했습니다.

 

 

 

 

 

 

중국과 공화당의 표밭 '농산물'을 집중 타격한 '유럽연합'(EU)은 15일(현지시간)부터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25%의 관세를 매긴 데 따른 '미국산'에 25% 보복관세를 부과합니다. 중국은 '트럼프'가 중국에 대한 125% 인상 관세가 발효된 시점에 '미국산'에 84%의 보복관세를 발효했습니다. 유로존은 '트럼프'의 관세 중 일부가 철회되지 않는 한 지출 증가세가 '약화'될 수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에 대한 반감이 거세지면서 비야디(BYD)가 반사 수혜를 입는 가운데, '테슬라'는 어디다 팔 생각인지 '의문'입니다.

 

 

 

 

 

 

한국시간 10일 오후 6시 37분 전일 '미친 변동성'에 기록적인 상승률을 보였던 뉴욕증시 3대 지수 프리마켓에서 '테슬라' 등 전 섹터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남은 관세' 조치만으로도 차이가 없으니 선물시장(원유 -2.50%, 브렌트유 -2.50%, 천연가스 -3.16%) 및 암호화폐도 롤백 중으로 보이는데, 3월 PPI와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및 은행주 실적 발표를 앞두고 데이·스윙 트레이딩 이익 확정과 차익 매물이 출회 후 추가 수익을 내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3월 CPI' 수치에 주목하고 있는 미국 주식 선물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미국이 최소 보복관세를 확정한 '중국', '유럽연합'(EU), 북미(캐나다)에서 고립된 가운데, '빌 애크먼'은 '트럼프'의 관세 '90일 유예' 결정에 '찬사'를 보내면서 중국이 고립됐다고 '주장'을 했습니다. 채권왕 빌 그로스는 "시장은 '트럼프'의 아침 '기분'에 의존해선 안 된다."면서 "'트럼프'가 말 뒤집는지에 달려 있는 미국 '주식' 갖고 싶냐"고 말하였습니다. 미국 증시는 '추가 하락'할 수 있으며 미국 '국채' 스프레드의 확대와 미국 '경기 침체'에 대해 투자자들은 '대비'하고 있어야 한다는 '경고'가 나옵니다.

 

 

 

 

 

지금 전일 상승폭이 컸던 '테슬라' 추격 매수를 하면 100% 물릴 수 밖에 없는 이유는 '트럼프'의 관세로 인한 경기 침체가 전망되는 가운데 상방은 막혀있고 하방은 열려있습니다. 90일을 유예했건 안 했건, 중국을 배제하고 스콧 배센트 재무장관이 '하한'이라는 10% 보편관세만 '반영'할 경우에도 S&P500의 순이익은 6.4% 감소합니다. '중국' 자동차 판매는 전기차·하이브리드가 주도하여 14.4% '급증'을 했습니다.

 

 

 

 

'트럼프'가 관세 정책 비판을 차이가 없는 '90일 유예' 노이즈로 가리면서 오히려 국채금리는 '급등'시킨 전일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공개한 3월 'FOMC 의사록'은 "거의 모든(almost all)" 참가자가 인플레이션 위험은 상방으로 기울어 있는 반면 고용 위험은 하방으로 기울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고 밝혔습니다. 관세(tariff)라는 표현은 모두 18번 등장했으며, 대부분 인플레이션의 상승 가능성과 결부되며 사용됐습니다.

 

 

 

 

 

미국 3월 'CPI' 상승률은 전년 대비 2.4%로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습니다. 도이체방크는 '트럼프'의 90일 '관세 지연'에도 "미국 경제에 '이미 피해'는 발생했다"했고 모건 스탠리는 '트럼프'의 90일 '관세 지연'은 "'불확실성'을 연장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트럼프'의 '관세 폭탄'에 '할리우드 영화' 수입을 '축소'할 것이고, '아마존'은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생산한 제품 주문을 '대거 취소'했습니다.

 

▲'관세'를 정치적 전략으로 쓰며 '금리'와 '환율'에 '재앙' 같은 '주댕이'를 가만 두지를 않은 '트럼프'와 '주댕이'를 가만 두질 않는 '미국'판 김건희, '테슬라'(목표 주가 '120 달러') DOGE 수장 親'중국' '빨갱이' '병신 광대' '일론 머스크' 감옥 운동 중입니다.▲

 

▲ '블로그'의 모든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어떠한 '상업적인 이용'도 허가하지 않으며, 이용('불펌') 허락을 하지 '않습니다'.

▲ 사전협의 없이 본 콘텐츠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