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344

중국 모바일 기기 제조업체 글로벌 점유율 40% 육박

중국 모바일 기기 제조업체의 글로벌 점유율이 2014년 기준 40%로 올라섰다. 대만의 시장 조사 기관 Trendforce에서 밝힌 집계에 따르면, 2014년 중국 제조업체 전체 점유율이 38.6%고, 2015년에는 중국 제조업체 성장이 더욱 가속화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내용을, 한 국내 언론에서 Trendforce에서 공개한 마켓 쉐어 테이블을 '싺 빼놓고', 중국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상태라서 중국 제조업체의 성장률이 2015년에는 저조할 것이라고 했는데, 보다시피 2015년 글로벌 점유율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Coolpad, TCL도 중국 제조업체다.) 2013년 이후 애플이 현상 유지를 해왔고, LG가 2014년 G폰 등의 선전으로 점유율이 약간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다. Trendfor..

안드로이드 2015.01.25

확 달라진 갤럭시S6 디자인 유출

차세대 갤럭시S6(Galaxy S6)의 디자인이 유출됐다. BGR에서는 자신들이 신뢰할 수 있는 소스로 부터 이 디자인을 전달 받았으며, 삼성이 MWC 2015 시점에 맞춰서 갤럭시S6를 출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64-bit eight-core 14nm CPU which is 50% faster5.1-inch Quad HD Super AMOLED display with a 577ppi density, stunning outdoor visibility, super dim mode for late night.A huge 20 megapixel OIS camera sensor and a 5 megapixel f/1.8 front-facing camera with real-time HDR32 / 64 / 12..

안드로이드 2015.01.22

삼성 키스(Kies 4) 2015년 1분기 출시 목표로 개발중

삼성전자가 2015년 1분기 출시를 목표로, 갤럭시 관리 프로그램인 키스(Kies) 4를 준비중이라는 루머다. Sammobile은 내부 소식통을 인용하여 삼성이 현재 Kies 4 작업으로 분주하고, Kies 4가 이전 버전과 완전히 달라진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갖출 것이라 전했다. 아울러, (좀 당연한 얘기기는 한데)갤럭시S6의 출시와 함께 공개될 것이라며 시점을 언급했다. 이전 글을 통해서, '내가 생각하는 삼성 갤럭시에 필요한 것들'을 지적한 적이 있다. 지문인식 방식, 젠하이저 협업, 디자인 개선, 보안 문제(캐스퍼키가 아닌 KNOX를 보완했다고 한다.) 등 꽤 유동적으로 시장에 대처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가 이 글을 봤다기 보다는, 여기 지적한 상당 수가 내가 생각하는 갤럭시 스마트폰의 문제점이기도..

안드로이드 2015.01.22

애플 아이폰6와 플러스 출시 후 아시아 점유율 수직 상승

애플이 아이폰6와 아이폰6플러스를 출시 후 아시아 점유율이 늘어났다는 소식이다. Counterpoint에 따르면 중국, 일본, 한국에서 점유율이 수직 상승했으며, 특히 아이폰6와 아이폰6플러스가 출시된 작년 11월에는 한국에서 조차 10월 대비 펜텍이 소폭 상승하고, 삼성 점유율이 크게 떨어졌으며 10월 약 12%에 불과했던 애플 점유율이 33%로 크게 늘어났음을 지적했다. 삼성의 일본에서의 성적은 더 저조하다. 삼성은 샤프, 후지쯔와 함께 10월 하위권을 다투다가, 11월 최하위로 추락했다. 반면 소니와 함께 경쟁하던 애플은 51%로 약간 하락했으나 여전히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애플의 아이폰6와 6+의 아시아 시장에서의 인기, 일본에서의 점유율 하락 이유는 '크기'다. 한국의 페블렛 선호도는 약 4..

Apple 2015.01.21

삼성 2014년 중국 점유율 13.7%로 하락

차세대 갤럭시S6가 5.5인치 페블렛이 될 것이라는 루머 처럼, 현재 삼성전자 모바일 부문 사업의 핵심은 14억 중국과 13.3억 인도다. 인도에서는 타이젠을 탑재한 Z1으로 공략을 시작했고, 중국에서는 이제 갤럭시S6 브랜드 네이밍 파워를 통해 중저가 스마트폰을 공략할 것으로 보인다. 이재용 부회장이 중국 방문시 했던 말 그대로 왈, "중국 사회에 기여하고 중국인들에게 사랑받는 기업이 되겠다."는 삼성이 중국 시장 공략에 적극적인데 비해서 그 성과는 저조해보인다. 중국 최대 시장조사 기관인 CCID에서는 삼성, 샤오미, 애플 등 로컬 브랜드를 타겟으로 시장 조사를 한 결과, 삼성은 2014년 1분기 20%에서 4분기 13.7%로 감소했다. 다만, 삼성은 여전히 중국 점유율 1위(13.7%)로 레노버(1..

안드로이드 2015.01.21

갤럭시S6 초기 모델 엑시노스 7420 탑재와 카메라

칩을 생산중인 모든 제조업체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체 생산 칩을 사용하는 것이다. 애플은 이 과정을 아주 오래전 부터 잘 해왔고, 경쟁업체들을 효율적으로 공략해왔다.(참고) 기술적으로, 당장 아주 고-사양의 PC까지 대체야 불가하겠으나 이제 곧 선보일 A9 프로세서를 위한 PowerVR Series 7 그래픽 아키텍처 부터는 4K 렌더링과 콘솔 퀄리티의 퍼포먼스를 보일 것이다. 이런 추세라면 A9X 혹은 A10X 부터는 맥을 위한 A시리즈 칩이 생산될 수도 있다. 즉, 인텔칩을 구매해서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애플이 PC용 칩을 만든다는 얘기다.(appleinsider 등 해외 매체들은 이러한 내용에 동의 중이다.) (아이폰6/플러스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던 갤럭시노트4의 그래픽 퍼포먼스로, 스냅드래곤 8..

안드로이드 2015.01.16

삼성 스마트TV의 타이젠과 플로우백

2015년 삼성의 가장 큰 전략적 변화를 꼽자면, '타이젠(Tizen)과 plowback' 의 본격화다. 삼성은 모바일에서 갤럭시 기어(Gear) 시리즈로 타이젠 생태계를 구성하려 시도했으나, 완전히 실패했다. 내가 개발자 입장이라고 해도, 삼성을 믿고 오직 삼성 기기만을 위해서 컨텐츠를 생산 할 시간과 노력과 비용을, 다수의 안드로이드 사용자를 타겟으로 들이는게 낫다. 더욱이, 삼성은 이미 바다OS를 통해서 개발자들과 협업체들로 부터 신뢰를 잃었다. 삼성이 수익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 절실한 것은 '자체AP와 자체OS'다. 자체AP가 중요한 이유는, 굳이 모바일 뿐만 아니라 PC(데스크톱, 랩톱) 등 종합가전제품 업체인 삼성의 모든 제품에 AP를 자체 생산한 엑시노스(Exynos)를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안드로이드 2015.01.02

애플 아티스트와 비츠뮤직 독점 계약 추진

애플이 아티스트들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인 비츠 뮤직(Beats Music)과의 독점 계약을 추진 중이라는 소식이다. 'Spotify' 와 유투브가 계속해서 아티스트들과 마찰을 갖는 가운데, 애플의 전략적 제스처는 탁월했다. 2006년 Dr. Dre와 비츠 일렉트로닉스를 공동 창업하여 비츠 헤드폰을 전미 점유율 1위로 올려 놓은 '레코드사의 녹음실 청소 아르바이트'로 인생을 시작한 비츠의 CEO Jimmy Iovine은 다수의 음악 아티스트를 만나 '비츠뮤직과 아이튠즈 앨범 독점 출시'를 논했고 이를 확대 추진할 것이라는 'New York Post' 의 보도다. Fortune 에서 삼성과 애플 소비자를 조사한 결과, 애플 소비자가 삼성 소비자 보다 '더 젋고, 더 부자고, 더 고학력' 임을 보도한 적이 ..

Apple 2014.12.29

삼성 64비트 갤럭시노트4 S-LTE 1월 출시

오늘 삼성에서 2015년 1월 한국 시장에서 새로운 갤럭시노트4를 출시할 것이라 공식 발표했다. 현재 갤럭시노트4는 프로세서가 다른 2가지 모델이 출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쟁을 해야 하는)주요 마켓(미국, 중국, 오스트리아, 벨기에, 이탈리아, 네덜란드, 영국, 스위스)에서는 (32bit)2.3GHz 쿼드 코어 Krait 450 Qualcomm Snapdragon 805 APQ8084가 탑재되어 있다. 삼성에게 확신이 있는 마켓에서는 삼성의 Cortex-A53 코어와 Cortex-A57 코어의 big.LITTLE 환경의 (32bit)Exynos 5433(= Exynos 7)으로 출시되어 있다. 새로운 3번째 모델의 갤럭시노트4는 이 2가지가 섞여 있는 Qualcomm의 (64bit)Snapdragon..

안드로이드 2014.12.29

삼성전자 인도에서 새 모델 SM-G430 포착

삼성의 다양한 스마트폰이 인도에서 포착중이다. 갤럭시S6(SM-G920F)로 추정되는 기기 부터 타이젠까지 삼성전자에게 있어 13억 인도 시장은 14억 중국 시장 못지않게 중요하다. 이번에는, 이전까지 알려진 바가 없는 새로운 SM-G430이라는 기기가 포착됐다. SM-G430은 1080p 해상도의 5.5인치 패블렛이다. 이 기기는 2.5GHz 프로세서로 구동되며, 삼성 웹사이트의 user agent profile과 클럭 속도로 볼 때 퀄컴 스냅드래곤 801(Qualcomm Snapdragon 801)로 추정된다. 이 SoC(System On Chip)는 4G LTE 카테고리 4(Cat.4)와 기가바이트 WiFi를 지원한다. GPU는 Adreno 330이다. Sammobile에서는 한 가지 실망스러운 점..

안드로이드 2014.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