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퀄컴 스냅드래곤 810의 부진으로 모든 안드로이드 OEM 제조업체들이 침체기였고, 그 반사이익은 애플이 얻었다. 삼성은 (WSJ 왈)SD 810 발열 논란을 주도하여 엑시노스를 푸싱하려 했으나 결론적으로 '실패' 했고, Mali-T760을 갤럭시S5 ~ 갤럭시노트5까지 재탕함으로써 체적(디스플레이 크기)은 커졌는데 GPU는 동일하니 플래그십에 어울리지 않는 그래픽 성능으로 혹평을 받았다.
샤오미도 예외는 되질 못했다. entry-level ~ mid-range 폰들을 주로 생산해왔고 글로벌 히트작을 연이어 내놨던 샤오미에게 있어서 SD 810의 미 노트 실패는 CEO 레이 쥔 왈, 부담이 됐고 올해 SD 820을 탑재한 기기를 서두르지 않을 것이며 아마도 4월은 되야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샤오미의 차세대 플래그십 high-end 기기 Mi 5라 주장하는 렌더가 온라인으로 유출됐다. 이 렌더는 웨이보에서 유출된 것으로 화이트, 블랙, 핑크, 골드의 4가지 색상이며 풀-메탈 바디가 예상된다. 샤오미 Mi 5 의 예상되는 스펙은 5.2인치 쿼드 HD 디스플레이, 퀄컴 스냅드래곤 820(Adreno 530), 4GB RAM, 1,600만 화소 후면카메라와 듀얼 LED 플래시, 800만 화소 전면 카메라, 16GB ~ 64GB 내장용량, 3,030mAh 배터리까지다.
아무래도, 가격대가 큰 관심일 수 밖에 없는데 Mi 5의 가격대는 1,999 위안(35만7,860.98원)으로 전작인 Mi Note Pro가 약 $500으로 출시됐다는 점에서 가격이 크게 인하될 것이고, 이 가격대로 출시된다면 가성비가 '원플러스(OnePlus)' 급이 될 수 있다.
▲ T.B의 SNS 이야기 블로그의 모든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어떠한 상업적인 이용도 허가하지 않으며, 이용(불펌)허락을 하지 않습니다.
▲ 사전협의 없이 본 콘텐츠(기사, 이미지)의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비영리 SNS(트위터, 페이스북 등), 온라인 커뮤니티, 카페 게시판에서는 자유롭게 공유 가능합니다.
T.B의 SNS이야기 소식은 T.B를 팔로윙(@ph_TB) 하시면 실시간으로 트위터를 통해서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OEM 제조업체 Letv 6.33인치 Le Max로 다음달 중순 인도 진출 (3) | 2015.12.29 |
---|---|
샤오미 Mi 5 아이폰을 닮은 디자인 고화질 동영상 유출 (0) | 2015.12.29 |
갤럭시S7과 S7 엣지 도면 유출과 예상 스펙 정리 (0) | 2015.12.29 |
갤럭시S7 2가지 모델로 2월 20일 공개 루머 (0) | 2015.12.29 |
갤럭시S6 미니 온라인 리테일러 사이트 등장 (0) | 2015.12.28 |
LG G5 스펙 듀얼-후면 카메라와 풀 메탈바디 일체형 배터리 (0) | 2015.12.24 |
스냅드래곤 820 발열 의혹 제기에 관하여 (0) | 2015.12.23 |
샤오미 Yi 홈 카메라 스마트 CCTV 아마존 구매 가능 (2) | 2015.12.23 |
루머: 원플러스와 오포(OPPO) 합병설 (6) | 2015.12.21 |
안드로이드 마쉬멜로우 기반 시아노젠모드 13 LG G3 S, G3 비트, G2 미니, 옵티머스 L70 공식 지원 (0) | 2015.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