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근 증후군은 이상근(piriformis)이 좌골신경을 압박하여 표현된다는 요통으로 추간판탈출증(요추 디스크 손상)과 매우 유사하여 병원에서 조차 디스크 질환과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고 주장된다.
이상근을 풀어줘야 한다는 협소한 논리로 볼마사지를 강조하는 여러 운동지도자들을 보았는데 이는 즉각적으로 중단해야할 행위다. 이상근을 이완시키는 개념으로 볼마사지나 스트레칭을 처방하게 되면 더 안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세간에 알려져 있는 상식과는 다르게 짧아져서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하지 정렬로 인해 불필요하게 늘어난 상태에서 부하를 받는 것이 문제라는 것, 다시 말해 '과도하게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장력으로 좌골신경을 압박하여 좌골신경통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상근에 더 많은 스트레스를 가하는 볼마사지 또는 스트레칭이 아니라 하지 정렬을 바꾸는 운동조절 훈련을 해야한다. 전문성이라는 것은 남이 알지 못하는 놀라운 기술을 쓰는 것이 아니다. 어떨 때 그 기술을 써야할지 아는 것이다.
실제로, 이상근 증후군이라는 것이 결국에는 '디스크 손상' 또는 몸에서 보내는 다른 신호일 수 있다. 70~90%의 많은 사람들이 평생을 살면서 한번 즈음은 경험하는 것이 요통이다. 처음에는 가벼운 통증으로 시작하지만, 지속되면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고 한번 손상되면 쉽게 재생되지도 않는다.
▲ T.B의 SNS 이야기 블로그의 모든 글은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어떠한 상업적인 이용도 허가하지 않으며, 이용(불펌)허락을 하지 않습니다.
▲ 사전협의 없이 본 콘텐츠(기사, 이미지)의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비영리 SNS(트위터, 페이스북 등), 온라인 커뮤니티, 카페 게시판에서는 자유롭게 공유 가능합니다.
T.B의 SNS이야기 소식은 T.B를 팔로윙(@ph_TB) 하시면 실시간으로 트위터를 통해서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건강 > 건강뇌피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트니스의 미래가 밝습니다. (0) | 2021.01.23 |
---|---|
엉터리 스트레칭 그만 따라해 (0) | 2021.01.22 |
장경인대(ITB)를 풀어주는 것이 가능한 것일까 (0) | 2021.01.22 |
운동 후 스트레칭의 미신 (0) | 2021.01.20 |
코어 마사지란 가능한 것일까? (0) | 2021.01.18 |
이상근 증후군 마사지와 스트레칭 (0) | 2021.01.18 |
르네상스 뇌피셜 (0) | 2021.01.17 |
사람이 살다보면 통증이 있는 자세를 해도될까 (0) | 2021.01.08 |
왜 모두가 퍼스널 트레이너를 싫어할까 (0) | 2020.12.14 |
JJ와 GSG 마사지 스트레칭 (0) | 2020.12.03 |
무지가 큰 문제다. (0) | 2020.11.22 |
댓글을 달아 주세요